벽에 인터넷 단자가 있으면 대부분 통신단자함이 설치되어있습니다.
차단기함 근처, 신발장 안 등 단자함의 위치는 집마다 다릅니다.
위의 사진은 요즘 아파트의 통신단자함입니다.
이미 네트워크에 필요한 모든 장치들이 설치되어있어서
단자함은 손댈필요없이 각 방에서 모두 인터넷이 사용가능합니다.
하지만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는 다릅니다.
통신에 필요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설치하여도 방 1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위의 사진은 준공 15년된 아파트입니다.
단자함을 열어보면 선만 몇개 있고 다른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각 방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유기나, 허브를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열어보면 뭐가 뭔지도 모르고 참 난감하죠.
도면이나 라벨링이 되어있으면 어디로 연결되는지 알기 쉬울텐데 이곳은 아무런 정보가 없습니다.
어디와 연결되었는지 일일이 찾아야 합니다.
위 단자함을 간략하게 표현하면 현재는 이렇게 연결되어있습니다.
외부에서 인터넷이 들어와서 거실로 간 다음 IPTV 셋탑과 연결되어있고
셋탑박스의 출력 단자에서 방 1번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방2, 방3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오래된 아파트의 단자함은 통신장치가 없기에 어느방과 연결할지 결정만 하는 역할만 하고 있는 겁니다.
처음에 보았던 단자함에 설명을 추가하였습니다.
현재 알아낸 부분은 이와같습니다.
인터넷은 4가닥만으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단, 100Mbps까지 지원)
하지만 랜선은 8가닥이죠.
외부에서 들어오는 인터넷은 4가닥뿐이며,
거실과의 연결도 4+4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선 용도로 각 방과 연결해두긴 했는데 이 집은 유선전화를 사용하지도 않고
각 방에 전화포트도 없어서 과감히 없애버렸습니다.
우선 단자함은 이렇게 2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층은 아파트 시공시 각 방과 이미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2층의 부분만 변경하면 됩니다.
단자함의 블럭에 랜선을 연결하는 방법은 랜선 관로포설 DIY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통신플레이트에 랜선 연결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어느 방과 연결된것인지 찾는 방법은 랜테스터기를 이용하거나
테스트 할 방법이 없다면 랜선을 살짝살짝 잡아당겨 방에서 움직임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위 사진과 같이 내트웍 공사를 마쳤습니다.
외부 인터넷은 100Mbps이지만
가정내 네트워크는 8가닥 랜선을 모두 활용하여 기가비트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단자함 내 전원이 없고, 가까운데서 끌어올 방법도 없어서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을 방3과 연결된 랜선을 활용하여 스위치허브의 전원을 끌어왔습니다.
연결된 선에는 모두 네임택을 달아 어느방인지 모두 표시해두었습니다.
현장을 간략하게 표현하면 위와 같습니다.
공유기가 단자함 안으로 들어가도 되긴하지만 그렇게하면 무선인터넷이 원활하지 않기때문에
일반적으로 공유기는 거실에 두는것이 좋습니다.
단자함에 전원 끌어오기가 힘들다면 위와같이 꼼수를 통해 전원을 넣어주면 편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밑에 좋아요버튼을 눌러주세요.
'컴퓨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으로 웹서핑시 느린 경우 해결 방법 (1) | 2020.01.06 |
---|---|
고용량 USB 메모리 FAT32로 포맷하기 (15) | 2019.08.14 |
LG전자 PC 모델명 보는 방법 (0) | 2019.02.22 |
랜선, 인터넷선, RJ-45, UTP 케이블 만드는 방법 (1) | 2012.09.15 |
USB 메모리 내부는 어떻게 생겼을까? (2) | 2008.08.09 |